[WEB] React는 왜 빠른가? - Virtual DOM

BOM, DOM, Virtual DOM

Posted by Sol on April 26, 2021 · 3 mins read

핫한 리액트를 써서 SPA 프로젝트를 하나 완성했고,

현재는 React를 Front-end로, Spring Boot를 Backend-end로 하여 웹 프로젝트를 하나 진행하고 있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왜 React가 빠른지, Virtual DOM은 무엇인지에 대해 간략히 정리해보고자 한다.


BOM and DOM

모든 웹 서비스는 브라우저 위에서 제공된다.

브라우저는 본인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API)하기 위해 객체 모델을 사용하는데, 이 모델을 BOM(Brouser Object Model)이라 한다.

Javascript를 배울 때 window라는 객체에 대해 배울것이다.

window 객체는 브라우저의 요소들, 엔진, 모든 변수를 담은 최상위 객체(Java에서는 Object클래스 정도..?)이다.

window처럼 웹브라우저 윈도우 및 웹페이지의 일부를 제어할 수 있는 객체들을 BOM이라 하며,

BOM에는 screen, location, history, navigator등이 존재한다.


window 객체는 document객체를 포함한다.

document객체는 웹 페이지 그 자체를 의미하며, DOM의 최상위 객체이다.

Dom이란, document를 이루고 있는 각각의 node들을 tree구조로 표현하여 XML이나 HTML을 다루는 인터페이스이다.

즉, HTML 요소(element)객체(object)로 취급하여 Tree형태로 표현한 하나의 구조 체계라 할 수 있다.

image

(출처 : https://www.w3schools.com/whatis/whatis_htmldom.asp)

위 그림과 같이 최상단 Document 객체에서 시작하여 각각의 element들이 Tree형태로 뻗어나가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DOM이라 하며,

DOM 형태의 HTML에 있는 Tag 들로 웹페이지의 뼈대를 만드는 작업을 모델링이라 하며,

각 Tag의 속성들을 이용하여 뼈대에 살을 붙이는 작업을 렌더링(Rendering)이라 한다.

(SPA는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이다. 페이지가 바뀔 때 마다 서버로 요청을 하는 것이 아님.)

리액트가 빠르고 핫한 이유도 이 DOM과 Rendering을 어떻게 다루느냐와 관련이 있다.


Brouser DOM 과 Virtual DOM

브라우저에 어떤 변화가 생긴다고 가정하자.

만약 DOM이 하나라면, Tree구조의 특징 상 하나의 node가 변하면 그에 딸린 부모, 자식 node에도 변화가 생기므로,

Brouser DOM은 변화가 생길 때 마다 각 node와 subnode를 그때그때 rendering해야만 한다.

즉 View의 변화로 20개의 노드를 수정해야 한다면,

rendering 작업도 20번이 추가로 발생하게 되는 점이다.

이 또한 컴퓨터 연산 작업이므로 빈번한 rendering이 발생할 시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거꾸로 말하면, DOM을 ‘최소한’으로 조작하면서 변화를 반영하는 것이 성능을 향상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리액트는 Virtual DOM으로 변화된 부분만 한꺼번에 Brouser DOM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성능 향상을 꾀한다.

이를 리액트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재조정(Recolciliation)이라고 하며,

자세한 내용은 여기여기에서 확인가능하다(리액트 공식문서).

Virtual DOM은 실제 DOM보다 가벼운 copy DOM 이라고 할 수 있다.

UI에 변화가 생기면 우선 이 Virtual DOM에 전체 UI를 리랜더링 한 후, 기존 Virtual DOM과 변화된 새 Virtual DOM을 비교(diff)한다.

바뀐 부분이 전부 확인되면, 이 부분을 한꺼번에 실제 DOM에 반영하여 성능을 높인다.

Virtual DOM은 렌더링과정이 없기 때문에 실제 DOM보다 연산비용이 적다.

즉, View의 변화로 20개의 노드에 영향이 있다면,

React는 20개의 노드 변화를 diff 알고리즘으로 캐치하고 필요한 DOM트리만 한 번 Update하는 것으로 성능을 높인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방식은 DOM element 가 바뀔 때 마다 그에 맞춰 Rendering 작업이 여러번 발생하는데,

React는 변경된 elements들이 무엇인지 Virtual DOM에서 확인한 후 한꺼번에 DOM에 반영시켜 Rendering 횟수를 줄인다.